In Our Lifetim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n Our Lifetime》은 마빈 게이의 1981년 발매된 앨범으로, 그의 개인적인 어려움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1970년대 말, 게이는 재정적 문제와 개인적인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디스코 스타일의 《Love Man》 앨범을 기획했으나, 런던으로 이주하면서 앨범의 컨셉을 변경했다. 앨범은 모타운과의 갈등으로 인해 게이의 의도와 다르게 편집되어 발매되었으며, 비평가들의 호평에도 불구하고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CD 재발매와 확장판을 통해 다양한 버전의 곡들이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빈 게이의 음반 - What's Going On (음반)
마빈 게이가 1971년에 발표한 앨범 "What's Going On"은 모타운과의 갈등, 개인적인 문제, 베트남 전쟁의 영향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발매 당시 반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찬사를 받으며 소울 음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 마빈 게이의 음반 - A Tribute to the Great Nat "King" Cole
냇 킹 콜의 곡들을 펑크 브라더스가 연주한 앨범인 A Tribute to the Great Nat "King" Cole은 1960년대 미국 대중음악계를 대표하는 펑크 브라더스의 연주로 올뮤직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1981년 음반 - Living Eyes
Living Eyes는 비지스가 1981년에 발표한 앨범으로, 디스코 음악과의 결별을 시도하고 음악 스타일의 다양성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담았으며, 제작 과정에서 멤버 간의 의견 차이와 프로듀싱 팀과의 갈등이 있었고, 상업적으로는 이전 앨범에 비해 저조한 판매량을 기록했으나 캐나다와 스페인에서 각각 플래티넘 및 골드 인증을 획득했으며, 최초의 CD로 제작된 앨범 중 하나이다. - 1981년 음반 - Renegade (씬 리지의 음반)
《Renegade》는 1981년에 발매된 씬 리지의 열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필 라이넛이 참여하여 〈Angel of Death〉, 〈Renegade〉 등의 곡을 수록했으며, 영국, 미국, 캐나다 등에서 차트 진입에 성공했다.
In Our Lifetime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이름 | In Our Lifetime |
종류 | 정규 음반 |
아티스트 | 마빈 게이 |
![]() | |
발매일 | 1981년 1월 15일 |
녹음 | 1979년~1980년 |
스튜디오 | 마빈스 룸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시웨스트 레코딩 스튜디오 (호놀룰루, 하와이) 오디세이 스튜디오 (런던, 잉글랜드) |
장르 | 솔 음악, 펑크, 재즈 |
길이 | 41분 30초 (오리지널 음반) 40분 07초 (1994년 재발매) 138분 01초 (2007년 에디션, 2CD) |
레이블 | 타믈라 |
프로듀서 | 마빈 게이 |
이전 음반 | Here, My Dear (1978) |
다음 음반 | Midnight Love (1982) |
싱글 | |
싱글 1 | Ego Tripping Out (1979년 9월 28일) |
싱글 2 | Praise (1981년 2월 6일) |
싱글 3 | Heavy Love Affair (1981년 4월 20일) |
평가 | |
Allmusic | "Allmusic": |
BBC | "BBC": (호평) |
Chicago Tribune | "Chicago Tribune": |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A− |
Record Mirror | "Record Mirror": |
New York Times | "New York Times": (호평) |
Tom Hull | Tom Hull: B+ () |
2. 구상 및 배경 (1979-1980)
1979년, 마빈 게이는 개인적으로나 가수로서나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었다. 힛트 이후 2년 동안 히트곡을 내지 못했고, Here, My Dear를 발표했지만 상업적으로 실패했다. 이 음반은 이혼으로 끝난 안나 고디와의 힘겨운 결혼 생활 등 그의 사생활을 다뤄 비평가와 팬들 모두에게 외면받았다. 이혼 후, 게이는 1977년 10월 오랜 연인 재니스와 결혼했지만, 재니스는 결혼 생활 중 정신적 학대를 이유로 법적 별거를 신청했다. 재니스는 게이의 1976년 음반 I Want You에 영감을 주었다. 그해, 게이는 팝 팬들을 다시 모으기로 결심하고, 자신의 과장된 자아를 개인적인 의심으로 가린 약간 자전적인 디스코 곡인 Ego Triping Out을 발표했다. 게이는 디나 쇼어의 ''Dinah & Friends''에 출연하여 이 노래를 처음 불렀고, 이 공연은 나중에 DVD ''Marvin Gaye - The Real Thing: In Performance 1964-1981''에 수록되었다.
이 곡은 게이가 자신의 녹음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곡들을 담은 디스코 스타일의 앨범 《Love Man》의 타이틀곡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게이가 IRS에 450만 달러의 빚을 지게 되면서 앨범 제작은 보류되었고, 빚을 덜기 위해 마지못해 세계 투어를 시작했다. 하지만 게이는 투어에 열의가 없었고, 일본에서 어느 정도 호응을 얻은 공연과 하와이 공연 이후 투어를 포기했다. 이로 인해 그의 밴드 멤버들과 콘서트 기획자들이 계약 위반으로 수천 달러의 소송을 제기했다. 게이는 몇 주 동안 코카인 중독으로 고통받으면서 마우이 해변의 빵 밴에 틀어박혀 있었다.[23] 마약을 구하기 위해 어머니 앨버타에게 전화를 걸어 어머니가 자신에게 사준 귀걸이를 팔아서 코카인을 살 돈을 달라고 부탁했고, 스모키 로빈슨과 스티비 원더와 같은 친구들에게 돈을 요청했지만, 아무도 응하지 않았다.[23] 이 무렵, 게이의 변호사는 그에게 자발적 파산을 신청하라고 조언했고, 이로 인해 그의 녹음 스튜디오가 폐쇄되었고, 게이는 더욱 우울해졌다.
이 시기에 코카인에 취한 게이가 재니스의 심장에 칼을 겨누는 불행한 재회를 하면서 둘은 다시 헤어졌다.[23] 게이는 《Love Man》 앨범을 완성하려 했지만, 긍정적인 가사 대신, 일부 곡에서 자신의 삶을 다루었다. 예를 들어, "Dance 'N Be Happy"라는 곡에서, 후렴구는 "춤추고 행복하자"를 반복했지만, 가성으로 즉흥적으로 부른 가사는 재니스와의 결혼 실패에 대한 그의 고통을 드러내고 심지어 그녀가 그를 "긴장하게" 만들었다고 비난했다. 호놀룰루에서 믹싱을 듣고 실망한 게이는 음악 경력이 끝났다고 생각하여 앨범을 보류했다. 어느 날, 심한 우울증에 빠진 게이는 1960년대 후반 이후 처음으로 자살 시도로 한 온스의 코카인을 삼키며 죽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는 나중에 데이비드 리츠에게 "저는 포기했습니다. 문제들이 제게는 너무 컸어요. 그냥 혼자 내버려두고 고옥탄가 toot(코카인)에 정신을 놓고 싶었어요. 그것은 느리지만 비교적 즐거운 죽음일 것이고, 총기보다 훨씬 덜 지저분하겠죠."라고 말했다.[23]
이 기간 동안, 영국 콘서트 기획자 제프리 크루거는 마약상을 통해 게이와 연락했다.[4] 크루거는 게이의 친구 주얼 프라이스의 도움을 받아 게이를 설득하여 술을 끊고 1976년 이후 처음으로 유럽 투어를 시작했다. 1980년에 열린 이 투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네덜란드, 영국에서 공연을 선보였다. 이 투어는 게이가 마가렛 공주를 위한 특별 공연에 제시간에 나타나지 않아 좋지 않게 끝났고, 크루거는 계약 위반으로 그를 고소했다. 결국 게이와 크루거는 재판 없이 분쟁을 해결했다.
이후, 미국 국세청(IRS)을 피해 런던에 정착한 그는 런던 밤 문화를 즐기며 재기에 대한 의지를 다졌다.
2. 1. 《Love Man》 프로젝트 좌초
1979년, 마빈 게이는 디스코 스타일의 《Love Man》 앨범을 기획했으나, 여러 문제로 인해 프로젝트가 좌초되었다. 그는 이혼 후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 미국 국세청(IRS)으로부터 450만 달러의 빚을 지고 있었다. 이 빚을 해결하기 위해 월드 투어를 시작했지만, 건강 문제와 코카인 중독, 계약 문제 등으로 중단되었다.이 시기에 그는 자전적인 디스코 곡 "Ego Tripping Out"을 발표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 곡은 《Love Man》의 타이틀곡이 될 예정이었으나, 앨범 발매는 무기한 연기되었다. 앨범의 수록곡 중 하나인 "Dance 'N Be Happy"는 겉으로는 행복한 노래처럼 보이지만, 가사에는 재니스와의 결혼 생활에서 겪은 고통이 담겨 있었다.
결국 게이는 《Love Man》 앨범의 컨셉을 변경하고,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음악을 만들기로 결심한다. 그는 "누가 또 다른 신음소리를 내면서 여자한테 투덜대고 싶었겠어요? ... 세상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세요. 전할 말이 있었어요."라고 말하며, 이전의 '섹스 심벌' 이미지에서 벗어나고자 했다.[23]
2. 2. 런던 시기 (1980)
1980년, IRS를 피해 런던으로 도피한 마빈 게이는 새로운 음악적 영감을 얻고 《In Our Lifetime》의 초기 구상을 시작했다. 그는 런던에 정착하여 도시의 밤 문화를 즐겼지만, 코카인 중독으로 힘든 시간을 보냈다.[23]이 시기 게이는 《Love Man》 음반에 대해 "돈을 위해 무언가를 해야 했지만, 진실에 대한 의무도 있었다"고 회고하며, 음반의 콘셉트를 전면 수정한다. 그는 "얼마나 어리석었는지 깨달았다"며,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새로운 앨범을 구상하게 된다.
3. 녹음 과정 (1980-1981)
앨범의 초기 녹음은 할리우드의 마빈 게이 스튜디오와 호놀룰루의 시웨스트 레코딩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다. 1980년 런던으로 이주한 후, 오디세이 스튜디오와 조지 마틴의 AIR 스튜디오에서 추가 녹음이 이루어졌다. 《Love Man》 시절의 곡들을 재작업하고, 새로운 곡들을 추가하여 《In Our Lifetime》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2월 말까지 게이는 앨범의 초고를 완성했고, 이후 각 곡을 다음 곡으로 연결하는 신시사이저 사운드를 추가하여 컨셉트 앨범 형식으로 앨범을 수정했다. 이는 그가 《What's Going On》, 《Let's Get It On》 및 《I Want You》와 같은 앨범에서 했던 스타일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에 마빈의 투어 및 레코딩 음악가 중 한 명인 베이시스트 프랭크 블레어가 게이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앨범 마스터 테이프의 내용을 모타운의 할리우드 사무실로 가져갔다. 당시 게이는 런던의 오디세이 스튜디오에서 앨범을 리믹싱하고 편집하고 있었다. 모타운은 게이가 《Love Man》 프로젝트에서 물러선 것에 여전히 분노하여 몇 주 동안 앨범을 수정했다.[1]
3. 1. 런던 세션
1980년, 게이는 런던의 오디세이와 조지 마틴의 AIR 스튜디오에서 앨범의 새로운 구상을 녹음했다. 로스앤젤레스와 하와이에서 게이가 녹음한 곡들은 원래의 접근 방식에서 바뀌었다. "Far Cry"는 런던 세션에서 나온 유일한 새로운 곡이었으며, 기악곡 "Nuclear Juice"와 함께 수록되었다.다음은 런던 세션에서 변경된 곡 목록이다.
원래 곡명 | 변경된 곡명 | 변경 내용 |
---|---|---|
"Dance 'N Be Happy" | "Love Party" | 가스펠의 영향을 받은 가사를 가진 유사 댄스 곡으로 다시 쓰여짐. |
"Just Because You're So Pretty" | "Love Me Now or Love Me Later" | 게이가 인간, 주로 자기 자신 안에 존재한다고 느낀 "선과 악"의 영혼이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춤. |
"I Offer You Nothing But Love" | "In Our Lifetime" | 게이의 음악가 중 한 명이 부르는 구절("come lets all get funky if you dig the right/come lets all get funky if you dig the wrong")을 포함했고, 가사에는 다가오는 아마겟돈에 대한 이야기가 담김. |
"Lover's Plea" | "Praise" | 가스펠의 영향을 더 받도록 바뀌었고, 스티비 원더의 곡에서 영감을 받은 리프에 대한 찬사를 보냄("Stevie, we really dig you/hope you don't mind this riff from you"). |
"Life's a Game of Give and Take" | "Heavy Love Affair" | 제니스와의 불화를 논하는 그의 유일한 곡. |
"Life is For Learning"은 가수가 자신의 음악에 접근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 곡의 원래 제목을 제외하고는 크게 바뀌지 않았다. "Funk Me"는 ''Love Man'' (원래 제목은 "funk me"를 세 번 외쳤다)에서 더 성적으로 자극적인 버전에서 변경되었다. 게이는 또한 "Ego Tripping Out"을 앨범에 넣기 위해 두 번이나 부활시키고 재작업했지만, 결국 최종 앨범 트랙 목록에서 이 곡을 제외했다.
4. 음악적 특징 및 주제
《In Our Lifetime》은 펑크(funk), 소울, R&B, 가스펠 등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은 앨범이다. 가사에서는 사랑, 종교, 사회 문제, 개인적인 고뇌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4]
4. 1. 가사 및 주제
In Our Lifetime영어은 사랑과 이별, 종교적 구원, 사회 문제, 개인적인 갈등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4] "Heavy Love Affair"에서는 전 부인과의 관계를 다루었으며, "In Our Lifetime"에서는 종말론적인 메시지를 담았다.[4] 마빈 게이는 "Ego Tripping Out"에서 자신의 과장된 자아를 가사에 담아 설명하고 이를 개인적인 의심으로 가렸다.("두려움을 에너지로 바꿔라/'cause the toot와 연기는 욕구를 채워주지 못할 테니")[4] 또한 "Dance 'N Be Happy"라는 곡에서, 후렴구는 "춤추고 행복하자"를 반복했지만, 가성으로 즉흥적으로 부른 가사는 재니스와의 결혼 실패에 대한 그의 고통을 드러내고 심지어 그녀가 그를 "긴장하게" 만들었다고 비난했다.[4]5. 발매 (1981)
1981년 1월 15일, ''In Our Lifetime''이 발매되었을 때, 마빈 게이는 모타운이 자신의 허락 없이 앨범을 편집하고 서둘러 발매한 것에 분노했다. 그는 모타운이 기타 연주와 베이스 라인을 추가하고 자신의 예술적 결정을 무시했다고 비난하며, 파블로 피카소의 예를 들어 자신의 심정을 표현했다. 그는 모타운의 이러한 행동을 "내 뒤통수를 쳤다"고 표현하며 결코 용서하거나 잊지 않겠다고 말했다.[12]
이러한 갈등으로 인해 게이는 계약 해지를 요청했고, CBS 레코드가 그의 모타운 계약을 사들이면서 1982년, 21년간의 관계가 끝났다. 이후 게이는 벨기에와 독일에서 마지막 앨범인 ''미드나잇 러브''를 녹음했다.
5. 1. 반응 및 평가
''In Our Lifetime''은 발매 당시 게이가 음반 발매를 서두른 것에 대해 분노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9] 그는 자신의 허락 없이 앨범이 재편집되었다고 주장했다.[10] 비평가들은 앨범의 실험적인 성격과 음악적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지만, 대중적인 반응은 미지근했다. 앨범은 빌보드 R&B 앨범 차트에서 6위, 빌보드 200 차트에서는 32위를 기록했다.[12]싱글 "Praise"는 R&B 차트에서 히트했지만, 앨범 판매량은 저조했다. 이후 게이는 계약 해지를 요청했고, CBS 레코드가 그의 모타운 계약을 사들이면서 1982년 21년간의 관계가 끝났다.
시간이 흐르면서 앨범은 잊혀졌지만, 1994년 게이의 사망 10주년을 기념하여 모타운에서 CD로 재발매되었고, "Ego Tripping Out"이 추가되었다. 2007년에는 힙-O 레코드에서 확장판으로 재발매되어 오리지널 앨범과 함께 다양한 대체 테이크와 싱글 버전 등이 수록되었다.
'''음반 평점'''
5. 2. 재발매 및 확장판
1994년, 마빈 게이의 사망 10주년을 기념하여 모타운은 《In Our Lifetime》을 컴팩트 디스크(CD)로 재발매하면서, "Ego Tripping Out"을 추가했다.[12]2007년 6월 19일, 앨범 발매 26년 후, 힙-O 레코드는 확장판을 재발매했다.[12] 이 확장판에는 원래 앨범뿐만 아니라 런던의 에어 및 오디세이 스튜디오 세션의 얼터너티브 테이크, "Ego Tripping Out"의 1979년 오리지널 싱글, 《In Our Lifetime》 세션의 미공개 곡들이 포함되었다.[12] 두 번째 디스크에는 《Love Man》 세션의 기악곡들이 다른 가사와 제목으로 수록되었다.[12] 이 재발행은 제목 끝에 물음표를 다시 추가했으며 5,000장 한정으로 발매되었다.[12]
6. 곡 목록
Side One | 재생 시간 | Side Two | 재생 시간 |
---|---|---|---|
Praise | 4:51 | Far Cry | 4:28 |
Life Is for Learning | 5:06 | Love Me Now or Love Me Later | 4:59 |
Love Party | 4:58 | Heavy Love Affair | 3:45 |
Funk Me | 5:34 | In Our Lifetime | 6:57 |
모든 곡은 마빈 게이가 작사/작곡했다. 1994년 재발매반에는 〈이고 트립핑 아웃〉이 첫 번째 트랙으로 추가되었다.[12] 2007년에는 앨범 발매 26주년을 기념하여 확장판이 발매되었는데, 여기에는 런던의 에어 및 오디세이 스튜디오 세션의 대체 테이크, 1979년 "Ego Tripping Out"의 오리지널 싱글, ''In Our Lifetime'' 세션의 대체 컷 등이 포함되었다.[12]
6. 1. 1981년 오리지널 발매
1981년 1월 15일, ''In Our Lifetime''이 음반 매장에 발매되었을 때, 마빈 게이는 앨범이 서둘러 발매된 것에 대해 분노했다.[5] 그는 "어떻게 그들이 나를 그렇게 당황하게 할 수 있었을까? 나는 굴욕감을 느꼈다."라고 말하며, 레이블이 자신의 허락 없이 앨범을 재편집했다고 주장했다.[5]'''수록곡'''
모든 곡은 마빈 게이가 작사/작곡했다.
(하위 섹션의 내용과 동일하여 생략)
- 참고: 1994년 재발매반에는 "이고 트립핑 아웃"이 첫 번째 트랙으로 추가되었다.
비평적인 성공에도 불구하고, 이 앨범은 판매량이 저조했으며, "Praise" 단 하나의 R&B 히트곡을 냈고,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서 32위에 머물렀지만, 빌보드 R&B 앨범 차트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발매 후, 게이는 계약 해지를 요청했고, CBS 레코드의 어반 부문 사장 라킨 아놀드가 그의 모타운 계약을 사들임으로써 받아들여졌다. 이로써 1982년 가수가 이 회사와 맺었던 21년의 관계는 끝이 났다.[5]
6. 1. 1. Side One
- 프레이즈 – 4:51
- 인생은 배움의 연속 – 3:39
- Love Party – 4:58
- Funk Me – 5:34
6. 1. 2. Side Two
제목 | 재생 시간 |
---|---|
Far Cry | 4:28 |
Love Me Now or Love Me Later | 4:59 |
Heavy Love Affair | 3:45 |
In Our Lifetime | 6:57 |
6. 2. 1994년 재발매
1994년 마빈 게이의 사망 10주년을 기념하여 모타운에서 컴팩트 디스크로 재발매되었으며, 〈Ego Tripping Out〉이 트랙 목록에 추가되었다.[12]6. 3. 2007년 확장판
2007년 6월 19일, 힙-O 레코드는 앨범 발매 26년 후 이 앨범을 확장판으로 재발매했다. 확장판에는 원래 발매된 앨범뿐만 아니라 런던의 에어 및 오디세이 스튜디오 세션의 대체 테이크, 1979년 "Ego Tripping Out"의 오리지널 싱글, ''In Our Lifetime'' 세션의 대체 컷이 포함되었다.[12]두 번째 디스크에는 ''Love Man'' 세션의 기악 프로덕션이 다른 가사와 제목으로 ''Lifetime''에 포함되어 발매되었다. 이 재발행은 제목 끝에 물음표를 복원했으며 5,000장 한정이었다.[12]
6. 3. 1. 디스크 1 (보너스 트랙)
- "Nuclear Juice" (Air Studios Mix Outtakes) – 5:46
- "Ego Tripping Out" (Air Studios Mix Outtakes) – 4:55
- "Far Cry" (Air Studios Mix Outtakes) – 6:21
- "Ego Tripping Out" (Love Man: The Single) – 5:13
- "Ego Tripping Out – Instrumental" (Love Man: The Single) – 3:43
6. 3. 2. 디스크 2
In Our Lifetime영어의 2007년 재발매반 디스크 2는 다음과 같은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12]제목 | 재생 시간 |
---|---|
"Praise" (Odyssey Studios Mix) | 5:09 |
"Life Is For Learning" (Odyssey Studios Mix) | 3:53 |
"Heavy Love Affair" (Odyssey Studios Mix) | 4:40 |
"Love Me Now or Love Me Later" (Odyssey Studios Mix) | 5:43 |
"Ego Tripping Out" (Odyssey Studios Mix) | 4:37 |
"Funk Me" (Odyssey Studios Mix) | 5:13 |
"In Our Lifetime" (Odyssey Studios Mix) | 5:51 |
"Love Party" (Odyssey Studios Mix) | 5:18 |
"Life's a Game of Give and Take" (The Love Man Sessions) | 4:57 |
"Life Is Now in Session" (The Love Man Sessions) | 4:04 |
"I Offer You Nothing But Love" (The Love Man Sessions) | 6:03 |
"Just Because You're So Pretty" (The Love Man Sessions) | 5:06 |
"Dance N Be Happy" (The Love Man Sessions) | 6:49 |
"Funk Me, Funk Me, Funk Me" (The Love Man Sessions) | 5:49 |
"A Lover's Plea" (The Love Man Sessions) | 6:10 |
7. 참여진
역할 | 이름 |
---|---|
보컬, 키보드, 드럼 | 마빈 게이 |
기타 | 로버트 아워리, 고든 뱅크스, 커티스 앤서니 놀렌 |
베이스, 백 보컬 | 프랭크 베이츠 |
베이스, 드럼 | 프랭크 블레어 |
총괄 프로듀서 | 캔디스 본드 |
녹음 및 믹싱 엔지니어 | 존 월스 |
트럼펫 | 레이 브라운, 케니 메이슨, 조지 쇼 박사, 놀란 앤드류 스미스 |
드럼, 키보드 | 윌리엄 브라이언트 |
비브라폰, 백 보컬 | 엘미라 콜린스 |
키보드 | 레이먼드 크로슬리 |
색소폰 | 페르난도 하크네스 |
퍼커션 | 조 제임스, 조 메이요 |
퍼커션, 콩가 | 게리 존스 |
드럼, 백 보컬 | 리 켄틀 |
드럼 | 나이젤 마르티네즈, 프레스턴 "벅시" 윌콕스 |
호른 | 시드니 멀드루 |
알토 색소폰 | 라파엘 레이븐스크로프트 |
라이너 노트 | 데이비드 리츠 |
사진 | 론 슬렌작 |
참조
[1]
간행물
Marvin Gaye: In Our Lifetime
Motown Records
1981-01
[2]
웹사이트
RS Biography of Marvin Gaye
https://web.archive.[...]
Rolling Stone
2008-08-29
[3]
웹사이트
Allmusic critic Jason Elias says ''In Our Lifetime'' was "one of his finest later albums and captures him at his craft was maturing and becoming more multifaceted"
"{{AllMusic|class=al[...]
All Media Guide, LLC
2008-08-29
[4]
문서
What's Going On: The Life and Death of Marvin Gaye
PBS
2006
[5]
웹사이트
Marvin Gaye: In Our Lifetime
https://www.allmusic[...]
AllMusic
[6]
웹사이트
Marvin Gaye In Our Lifetime? Review
https://www.bbc.co.u[...]
BBC
2007
[7]
뉴스
"Review: ''In Our Lifetime''"
https://archive.toda[...]
Chicago Tribune
1994-07-22
[8]
웹사이트
Robert Christgau review
http://www.robertchr[...]
[9]
간행물
Marvin Gaye: In Our Lifetime
Record Mirror
1981-03-07
[10]
웹사이트
THE AFRICAN INFLUENCE ON POP AND JAZZ MUSICIANS
https://www.nytimes.[...]
1981-03-01
[11]
웹사이트
Recycled Goods (#114)
http://www.tomhull.c[...]
Tom Hull
2020-06-20
[12]
웹사이트
In Our Lifetime re-release
http://www.hip-osele[...]
2008-08-29
[13]
웹인용
Marvin Gaye: In Our Lifetime
https://www.allmusic[...]
Allmusic
[14]
웹인용
Marvin Gaye In Our Lifetime? Review
https://www.bbc.co.u[...]
BBC
2007
[15]
뉴스
"Review: ''In Our Lifetime''"
https://pqasb.pqarch[...]
Chicago Tribune
1994-07-22
[16]
웹사이트
Robert Christgau review
http://www.robertchr[...]
[17]
잡지
Marvin Gaye: In Our Lifetime
Record Mirror
1981-03-07
[18]
웹인용
THE AFRICAN INFLUENCE ON POP AND JAZZ MUSICIANS
https://www.nytimes.[...]
1981-03-01
[19]
웹인용
Recycled Goods (#114)
http://www.tomhull.c[...]
Tom Hull
2020-06-20
[20]
간행물
Marvin Gaye: In Our Lifetime
Motown Records
1981-01
[21]
웹사이트
RS Biography of Marvin Gaye
https://web.archive.[...]
Rolling Stone
2008-08-29
[22]
올뮤직
Allmusic critic Jason Elias says ''In Our Lifetime'' was "one of his finest later albums and captures him at his craft was maturing and becoming more multifaceted"
"{{올뮤직|class=album|i[...]
All Media Guide, LLC
2008-08-29
[23]
문서
What's Going On: The Life and Death of Marvin Gaye
PBS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